본문 바로가기
Back/Java

Java의 정석 [CHAPTER3. -5~9]

by 자바꿈나무00 2022. 12. 27.

[CHAPTER3. -5 증감 연산자 ++, --]

- 정수와 실수의 경우에는 피연산자에 저장된 값을 1 증/감 적용 가능하지만, 상수의 경우 값을 변경 할 수 없어 적용이 불가능하다.

- 증감 연산자는 일반 산술 변환을 통한 자동 형변환되지 않는다.

- 연산결과의 타입은 피연산자의 타입과 같다.

타입 설명 예시
전위형 값이 참조되기 에 증가시킴 j = ++i; 
후위형 갑이 참조된 에 증가시킴 j = i++

 

 

[CHAPTER3. -6 부호 연산자]

- 부호 연산자는 boolean형과 char형을 제외한 기본형에만 사용가능.

구분 기능
'-' 피연산자의 부호를 반대로 변경한 결과를 반환
'+' 없음, 부호 연산자'-'가 있어서 형식적으로 '+'를 추가해둔 것 뿐 

 

[CHAPTER3. -7 형변환 연산자]

- 형변환(casting) :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

- (타입)피연산자

여기에서 사용되는 괄호()는 '캐스트 연산자' 또는 '형변환 연산자'라고 부른다.

변환 수식 결과
int -> char (char)65 'A'
char -> int (int)'A' 65
float -> int (int)1.6f 1
int -> float (float)10 10.0f

 ex) 

double d = 85.4;

int score = ()

*과정 int score = (int)d; -> int score = (int)85.4; -> int score = 85;

 

[CHAPTER3. -8 자동 형변환]

 

[CHAPTER3. -9 사칙 연산자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