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Back/Java

D+2 상수, 형변환

by 자바꿈나무00 2022. 11. 18.

*상수

final 자료형 변수명;

- 변하지 않는 값으로 특정 변수의값이 변경되는 걸 원하지 않을 때 사용

- 초기화 이후에는 값을 변경x

- 변수명 대문자로 설정, 이어지는 부분은 _사용

 

*형 변환

-컴퓨터에서 값의 처리 규칙

1)  대입 연산자를 사용할 때 그것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은 같은 자료형이어야 한다.

2) 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간만 연산이 가능하다. (연산 결과도 같은 자료형으로 나온.)


*형 변환의 종류

1) 자동 형 변환(묵시적 형 변환)

-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이뤄지기 때문에 개발자가 형 변환을 시켜줄 필요가 없다.

- 데이터 표현 범위가 작은 자료형을  큰 자료형으로 변환 ( 메모리 크기가 아닌 범위값의 크기로 크고 작음을 구분한다.)

2) 강제 형 변환(명시적 형 변환)

-[표현법]

(자료형) 데이터;

- 범위가 큰 크기의 자료형의 데이터를 작은 자료형으로 변환하려고 할 때 사용

- (자료형)을 형 변환 연산자라고 함

- 강제 형 변환의 경우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가능

 

 

집 가서 복습^-^..

 

 

'Back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선택 정렬] 서치 정리  (0) 2022.11.29
맥 A2141에 자바환경 삭제 후 재설치 오류  (0) 2022.11.20
D+1 프로그래밍 기초, 변수  (0) 2022.11.17
자바020 ArrayList Class  (0) 2022.11.13
자바019 이중for문,  (0) 2022.11.13